
아파트를 거래할 때 거래금액이 크다 보니 나가는 세금도 아주 많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찾아보아야 합니다. 그중 취득세 감면이 세금을 줄이는 첫걸음입니다. 오늘은 어떤 경우에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지 등 취득세 감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취득세 감면 조건에는 무엇이 있나요?취득세 감면조건엔 3가지가 있습니다. 1) 생애 첫주택에 대한 감면 2) 신생아 출산가구를 위한 감면 3) 임대주택에 대한 감면 4)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감면이 있습니다.생애최초 첫주택 취득세 감면조건윤석렬정부에서 서민 주거안정 지원을 위하여 2022년 6월 21일부터 생애최초주택을 구입 시 취득세 감면을 위한 소득제한을 없앴고, 주택가액 기준도 완화하였습니다.2024년 기준으로 생애최초 취득세 ..

양도소득세를 공제할 수 있는 항목으로는 취득가액, 필요경비, 장기보유특별공제, 양도소득기본공제입니다, 취득가액이나 장기보유특별공제나 기본공제는 정해져 있지만 필요경비는 내가 얼마나 챙기느냐에 따라 양도소득세를 덜 낼 수가 있습니다. 양도소득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필요경비를 공제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계산 시 공제받을 수 있는 필요경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필요경비로 인정받는 품목은?필요경비란? 취득, 보유하면서 쓰는 기타 부대비용을 말합니다. 주택취득비용, 가치개선비용,거래비용 등이 포함됩니다.필요경비는 자본적 지출액은 공제를 받지만 수익적 지출액은 공제를 받지 못합니다.1)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경비를 자본적 지출액이라고 합니다. 자산의 내용연수를 연장시키거나 당해 자산가치를..

취득당시에 조정대상지역에 위치한 주택은 2년 거주를 해야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취득 이후에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가 되어도 적용이 됩니다. 하지만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 1 주택 비과세 특례가 있어서 2년 거주를 하지 않아도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받을 수가 있는 특례가 있습니다. 2년 거주 안 해도 비과세 받는 법, 상생임대주택에 대한 1세대 1 주택 양도세 비과세특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상생임대주택이란? 임대인은 직전 임대차계약 대비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5%이내로 증액함으로써 양도세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고, 임차인은 임대기간이 종료가 되더라도 임대료 등을 크게 부담하지 않고 주거안정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윈윈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상생임대주택은 임대차시장 안정화방안으..

양도소득세는 개인이 부동산, 주식 등 자산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여러 가지 특정요건을 충족하면 양도소득세가 비과세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1세대 2 주택이어도 비과세가 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양도소득세 비과세 조건은?보유주택 1세대1주택, 조정지역의 경우 2년 거주, 비조정지역의 경우 2년 보유, 실거래가 12억 이하의 조건입니다.내가 살던집을 팔고 넓혀가거나 이사를 가는 경우 계속 1 가구 1 주택이므로 위와 같은 조건이면 양도차익이 많이 나도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습니다.2.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종전 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신규주택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신규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일정기간이내 (3년) 내에 종전주택을 양도하여야..